템파베이 vs 오클랜드 예상 선발 라인업 및 주요 부상자 명단
팀 | 투수 (Hand) | 승-패 | ERA | SO |
---|---|---|---|---|
탬파베이 레이스 | 셰인 바즈 (Shane Baz) · RHP | 8-8 | 4.92 | 133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제이컵 로페스 (Jacob Lopez) · LHP | 5-6 | 3.59 | 94 |
# | 선수 | 포지션 | 타석 |
---|---|---|---|
1 | 김하성 (Ha-Seong Kim) | SS | R |
2 | 얀디 디아스 (Yandy Díaz) | 1B | R |
3 | 브랜던 로우 (Brandon Lowe) | 2B | L |
4 | 주니어 카미네로 (Junior Caminero) | 3B | R |
5 | 에버슨 페레이라 (Everson Pereira) | CF | R |
6 | 제이크 망검 (Jake Mangum) | RF | S |
7 | 크리스토퍼 모렐 (Christopher Morel) | DH | R |
8 | 챈들러 심슨 (Chandler Simpson) | LF | L |
9 | 닉 포르테스 (Nick Fortes) | C | R |
# | 선수 | 포지션 | 타석 |
---|---|---|---|
1 | 닉 커츠 (Nick Kurtz) | 1B | L |
2 | 셰이 랭글리어스 (Shea Langeliers) | C | R |
3 | 브렌트 루커 (Brent Rooker) | DH | R |
4 | 타일러 소더스트롬 (Tyler Soderstrom) | LF | L |
5 | 콜비 토머스 (Colby Thomas) | RF | R |
6 | 다렐 에르나이즈 (Darell Hernaiz) | SS | R |
7 | 로런스 버틀러 (Lawrence Butler) | CF | L |
8 | 루이스 우리아스 (Luis Urías) | 2B | R |
9 | 지오 우르셸라 (Gio Urshela) | 3B | R |
* 타석 표기는 Bats(R/L/S)입니다.
템파베이 vs 오클랜드 금일 경기에 나설 양 팀의 공식 발표 기반 예상 선발 라인업은 예상은 위에 테이블 표에서 확인하세요.
탬파베이 레이스는 김하성 (유격수) – 허리 부상 복귀 후 리드오프 투입 야디 디아즈 (1루수) 브랜든 라우 (2루수) 주니어 카미네로 (3루수) 에버슨 페레이라 (Everson Pereira) 제이크 맨금 (우익수) 크리스토퍼 모렐 (지명타자) 챈들러 심슨 (좌익수) 닉 포르테스 (포수) 순으로 타선을 구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맞서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는 에스테우리 루이즈(중견수), 잭 겔로프(2루수), 브렌트 루커(지명타자), 셰이 랭글리어스(포수), 세스 브라운(1루수), JJ 블레데이(좌익수), 미겔 안두하르(우익수), 아브라함 토로(3루수), 닉 앨런(유격수)으로 이어지는 라인업을 가동할 전망이다.
현재 양 팀의 주요 부상자 명단에는 핵심 전력들이 포함되어 있다. MLB.com의 공식 자료에 따르면 탬파베이는 선발 투수 셰인 맥클라나한과 제프리 스프링스가 장기 부상으로 이탈해 있으며, 오클랜드 역시 투수 루이스 세베리노와 호세 르클럭이 부상자 명단(IL)에 등재되어 출전이 불가능한 상태다.
부상 변수가 양 팀 전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 부상자 명단에서 전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선수는 탬파베이의 셰인 맥클라나한과 오클랜드의 루이스 세베리노다. FanGraphs에 따르면, 양 팀의 부상 상황을 분석하면, 템파베이에서는 셰인 맥클라나한(Shane McClanahan)의 시즌 종료 수술이 가장 치명적인 타격이다. 맥클라나한(McClanahan)은 메이저리그 커리어 통산 8.8 WAR을 기록했으며, 2023년 시즌에는 11-2 승패와 3.29 ERA를 유지했다. 그의 공백으로 템파베이 로테이션에는 리드오프 에이스가 사라진 상황이며, 특히 셰인 바즈(Shane Baz)가 선발진 핵심으로 격상되면서 투수진 전체의 압박이 가중됐다.
반면 오클랜드의 오스틴 윈스(Austin Wynns) 부상은 상대적으로 제한적 영향을 미친다. 윈스(Wynns)는 22경기 출전하며 .222 타율, 3홈런, 10타점을 기록했으며, 시즌 전체 기준으로는 .291 타율과 .865 OPS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주전 포수 셰어 랭젤리어스(Shea Langeliers)의 존재로 윈스(Wynns)의 역할은 이미 보조 포지션에 한정되어 있어, 팀 전력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맥클라나한(McClanahan)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선발 투수 및 불펜 핵심 지표 분석
앞서 언급된 주축 투수들의 이탈은 양 팀 마운드 전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객관적인 지표를 통해 현재 전력을 비교하면, 선발과 불펜 모두에서 탬파베이가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Baseball-Reference.com의 2025시즌 팀 투수 통계에 따르면, 탬파베이 선발진은 평균자책점(ERA) 3.72와 이닝당 출루허용률(WHIP) 1.15를 기록하며 리그 상위권의 안정감을 보이고 있다. 반면 오클랜드 선발진은 ERA 4.68, WHIP 1.41로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이다. 경기 후반을 책임지는 불펜에서는 격차가 더욱 뚜렷하다. 탬파베이 불펜은 9이닝당 탈삼진(K/9) 9.9개, 9이닝당 볼넷(BB/9) 2.8개를 기록, 압도적인 구위와 제구력을 겸비했다. 오클랜드 불펜의 K/9는 8.1개, BB/9는 4.3개로, 특히 높은 볼넷 허용률이 경기 막판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선발 투수 맞대결 셰인 바즈 vs 제이콥 로페즈 데이터 비교
팀 전체 투수력과 별개로, 금일 선발 투수 개인의 데이터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탬파베이의 우완 셰인 바즈(8승 8패, 4.92 ERA)는 9이닝당 탈삼진(K/9) 9.5개의 구위형 투수지만, WHIP 1.38, 피안타율 0.265로 안정감이 떨어진다. 반면 오클랜드의 좌완 제이콥 로페즈(5승 6패, 3.59 ERA)는 K/9 7.8로 위력은 덜하지만, WHIP 1.15, 피안타율 0.220의 정교한 제구로 경기를 운영한다. 최근 3경기 성적 역시 로페즈는 2.45 ERA로 호조인 반면, 바즈는 6.10 ERA로 부진해 현재 컨디션에서 차이를 보인다.
타격 지표로 본 양 팀의 공격력 흐름
마운드 분석에 이어, 경기의 승패를 결정지을 또 다른 축인 타격 지표를 통해 양 팀의 공격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시즌 전체 기록을 보면, 탬파베이 타선이 오클랜드에 비해 더 높은 효율성을 보이고 있다. 템파베이가 주니어 카미네로(Junior Caminero)의 33홈런을 필두로 한 파워 야구를 구사하는 반면, 오클랜드는 브렌트 루커(Brent Rooker)가 24홈런으로 팀을 이끌며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장타력을 보였다.
탬파베이는 시즌 팀 타율 0.255, 178홈런을 기록하며 준수한 콘택트 능력과 장타력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반면 오클랜드는 팀 타율 0.229, 151홈런으로 전반적인 공격력에서 열세를 보인다. 하지만 팀의 실제 득점 생산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OPS(출루율+장타율)와 wRC+(조정 득점 창출력) 같은 심층 지표를 살펴봐야 한다.
이 지표에서 격차는 더 명확해진다. 탬파베이의 팀 OPS는 0.751, wRC+는 112로 리그 평균보다 약 12% 높은 득점력을 보인다. 오클랜드는 OPS 0.675, wRC+ 91로 리그 평균 이하의 생산성에 머물고 있어, 전반적인 공격의 효율성 면에서 탬파베이가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Baseball-Reference, “2025 MLB Team Batting Statistics”, 2025)
최근 7경기 팀 OPS 및 득점권 타율 비교
최근 7경기의 단기 흐름에서는 두 팀의 집중력 차이가 드러난다. 탬파베이 레이스의 해당 기간 팀 OPS는 0.690이며, 득점권 타율은 0.235에 그쳤다. 반면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는 같은 기간 팀 OPS 0.780을 기록했으며, 득점권 타율은 0.290로 클러치 상황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다. 이 수치는 시즌 전체 기록과는 다른 양상이다.
종합 분석 및 경기 승부 예측
데이터를 종합하면, 시즌 전체의 안정성에서는 탬파베이가, 최근 단기 페이스에서는 오클랜드가 강점을 보이는 구도다. 탬파베이는 부상 변수에도 불구하고 선발과 불펜 모두에서 우위의 지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즌 전체 공격 생산성 역시 오클랜드를 앞선다. 다만, 최근 일주일간 보여준 오클랜드의 득점권 집중력과 탬파베이의 단기 타격 침체는 분명한 변수다. 시즌 기록의 우위와 최근 흐름의 열세가 충돌하는 양상이다. 결론적으로, 안정적인 마운드 전력과 시즌 데이터의 우위를 바탕으로 탬파베이가 승리할 확률이 다소 높게 평가된다. 하지만 경기 초반 오클랜드 타선이 최근의 상승세를 이어가 탬파베이 마운드를 공략한다면, 예상 외의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한다.